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style="background:#152484; color:#fff;" | 비명 | | style="background:#152484; color:#fff;" | 비명 | ||
|- | |- | ||
| style="height: 33%; width:25%; | | style="height: 33%; width:25%; ; line-height: 1.4rem;" | 친명 중진<br><small>{{나무링크|김민석|김민석(1964)}}</small><br><small>{{나무링크|정청래}}</small><br><small>{{나무링크|서영교}}</small><br><small>{{나무링크|박찬대}}</small> | ||
| style="width:25%; | | style="width:25%; ; line-height: 1.4rem;" | 친명 초선<br><small>{{나무링크|황정아}}</small><br><small>{{나무링크|이광희}}</small><br><small>{{나무링크|김현정|김현정(1969)}}</small><br><small>{{나무링크|박정현|박정현(1964년 11월)}}</small> | ||
| style="width:25%; | | style="width:25%; ; line-height: 1.4rem;" | 범친명<br><small>{{나무링크|안규백}}</small><br><small>{{나무링크|이언주}}</small><br><small>{{나무링크|정동영}}</small><br><small>{{나무링크|조승래}}</small> | ||
| rowspan="3" style="padding: 0; border: 0px solid transparent;" | | | rowspan="3" style="padding: 0; border: 0px solid transparent;" |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 0; border-width: 0px; border: 2px solid transparent;" | {| class="wikitable" style="margin: 0; border-width: 0px; border: 2px solid transparent;" | ||
| style="width:25%; | | style="width:25%; ; line-height: 1.4rem;" | 비명 친문<br><small>{{나무링크|임종석}}</small><br><small>{{나무링크|송기헌}}</small><br><small>{{나무링크|고민정}}</small><br><small>{{나무링크|황희|황희(정치인)}}</small> | ||
|- | |- | ||
| style=" | | style="; line-height: 1.4rem;" | 초일회<br><small>{{나무링크|박광온}}</small><br><small>{{나무링크|김철민|김철민(정치인)}}</small><br><small>{{나무링크|박용진}}</small><br><small>{{나무링크|윤영찬}}</small> | ||
|- | |- | ||
| style=" | | style="; line-height: 1.4rem;" | '''상진동계'''<br><small>[[조영]]</small><br><small>[[서정호]]</small><br><small>[[휘문철]]</small><br><small>{{나무링크|신성령}}</small> | ||
|- | |- | ||
| style=" | | style="; line-height: 1.4rem;" | 무계파 비명<br><small>{{나무링크|김해영}}</small><br><small>{{나무링크|김동연}}</small><br><small>{{나무링크|맹성규}}</small><br><small>{{나무링크|서삼석}}</small> | ||
|} | |} | ||
|- | |- | ||
| style="height: 33%; | | style="height: 33%; ; line-height: 1.4rem;" | 친명 핵심<br><small>{{나무링크|강기정}}</small><br><small>{{나무링크|박주민}}</small><br><small>{{나무링크|박범계}}</small><br><small>{{나무링크|조정식|조정식(1963)}}</small> | ||
| style=" | | style="; line-height: 1.4rem;" | 혁신회의<br><small>{{나무링크|김우영|김우영(1969)}}</small><br><small>{{나무링크|김준혁|김준혁(1969)}}</small><br><small>{{나무링크|부승찬}}</small><br><small>{{나무링크|양문석}}</small> | ||
| style=" | | style="; line-height: 1.4rem;" | 더좋은미래<br><small>{{나무링크|도종환}}</small><br><small>{{나무링크|이인영}}</small><br><small>{{나무링크|진선미}}</small><br><small>{{나무링크|홍익표}}</small> | ||
|- | |- | ||
| style="height: 33%; | | style="height: 33%; ; line-height: 1.4rem;" | 원조 친명<br><small>{{나무링크|문학진}}</small><br><small>{{나무링크|이종걸}}</small><br><small>{{나무링크|정성호|정성호(정치인)}}</small><br><small>{{나무링크|정진상}}</small> | ||
| style=" | | style="; line-height: 1.4rem;" | 기타 친명<br><small>{{나무링크|김보라|김보라(정치인)}}</small><br><small>{{나무링크|김병기|김병기(정치인)}}</small><br><small>{{나무링크|이수진|이수진(1969년 5월)}}</small><br><small>{{나무링크|진성준}}</small> | ||
| style=" | | style="; line-height: 1.4rem;" | 보수정당 출신<br><small>{{나무링크|권오을}}</small><br><small>{{나무링크|김용남|김용남(1970)}}</small><br><small>{{나무링크|허은아}}</small><br><small>{{나무링크|김상욱|김상욱(정치인)}}</small>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f5f5f5; color:#000; text-align:center;" |현재 정당별 계파 (기타 진보 · 민주노동 · 진보 · 기본소득 · 사민 · 혁신 · '''민주''' · 새민주 · 개혁 · 국민의힘) | | colspan="4" style="background:#f5f5f5; color:#000; text-align:center;" |현재 정당별 계파 (기타 진보 · 민주노동 · 진보 · 기본소득 · 사민 · 혁신 · '''민주''' · 새민주 · 개혁 · 국민의힘) |
2025년 7월 2일 (수) 17:29 판
![]() | ||
---|---|---|
[ 펼치기 · 접기 ]
|
친조계 | 상진동계 친조영계 | 親趙永系Pro-Cho Young Faction | |||
형성 | 2006년 | ||
---|---|---|---|
수장 | 조영 더불어민주당 | ||
주요 정치인 | 서정호 더불어민주당 휘문철 더불어민주당 이진세 무소속 금평석 무소속 중촌신예 무소속 신성령 더불어민주당 의진회 더불어민주당 | ||
상위 계파 | 비명 | ||
[ 계파의 정당 역사 펼치기 · 접기 ]
|
개요
親趙永系(친조영계) / Pro-Cho Faction
2004년에서 2006년 경 생겨난 조영을 주축으로 한 정치세력. 계파 전체가 이인제 수준의 갈지자(之) 행보를 보인 것이 특징이다. 서정호가 사실상 계파의 주축이나, 계파 사람들이 조영을 따르는 경향이 조금 더 있으며 그가 가지는 의미가 있는지 친조라고 흔히 부르는 듯하다.
역사
상진동 참사 책임론으로 2004년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가 낙선하고 조영이 민주동안연합 후보로 당선되었으며, 이어 4회 지선에서도 재선에 성공하면서 계파가 형성되었다.
민주동안연합은 민주당계 정당이었으나 당권 분쟁 이후 평화복지당에서 진보 성향 인사들이 이탈하면서 점차 우경화되어 선진동안당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19대 총선에서 9석 획득에 그치며 참패했고, 이후 선진동안당은 새누리당과 합당해 당내 비박계 소장파로 활동하였다.
이후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 국민의힘에서도 소장파로 활동했으나, 21대 총선에서 조영이 단 1,902표 차로 낙선하면서 잠시 위기를 맞았다. 그러나 8회 지선에서 서정호가 청광광역시장에 당선되며 연명하는 신세가 됐다.
22대 총선에서는 옆 선거구 통합으로 인해 친윤 성향 강진연 당시 3선 의원이 포광 해성 을에 도전하면서 당시 5선이었던 조영이 무려 공천에서 컷오프되었으나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이후 서정호 청광광역시장과 친조계 의원들이 국민의힘을 탈당하거나 제명당했으며, 5월 24일 조영을 포함한 친조계 인사들이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하면서 계파의 주요 인사들이 친정으로 돌아온 꼴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