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삼쩌모 (토론)의 11874 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16번째 줄: 216번째 줄:
| 정보란 7행 노선 이름 = {{역/d}}
| 정보란 7행 노선 이름 = {{역/d}}
{{!}} {{역/c|#601986|3호선|청광 도시철도 3호선}}
{{!}} {{역/c|#601986|3호선|청광 도시철도 3호선}}
| 정보란 1행 등급 또는 소속 사업소 = {{역/m|3|i|'''관리역<br>(1급 / [[동안철도공사]])'''}}
| 정보란 2행 등급 또는 소속 사업소 = {{역/d}}
| 정보란 3행 등급 또는 소속 사업소 = {{역/d}}
| 정보란 4행 등급 또는 소속 사업소 = {{역/dr}}
| 정보란 5행 등급 또는 소속 사업소 = {{역/dr}}
| 정보란 6행 등급 또는 소속 사업소 = 낙광영업사업소 청광역(1)역<br>([[청광교통공사]] 영업본부)
| 정보란 7행 등급 또는 소속 사업소 = 낙광영업사업소 청광역(3)역<br>([[청광교통공사]] 영업본부)


| 정보란 1행 운영 기관 = {{역/m|3|i|[[동안철도공사]]}}
| 정보란 1행 운영 기관 = {{역/m|3|i|[[동안철도공사]]}}
290번째 줄: 298번째 줄:
=== 일치시기 ===
=== 일치시기 ===
[[1903년]] [[청의선]] 개통과 함께 '''설성서문역'''으로 개업하였다. 본래 [[설성남문역]](現 [[공대역]])이 [[청포선]]의 시점이었으나, 일제 치하에서 청의선 개통과 함께 해당 역이 청포선의 시점으로 조정되었다.
[[1903년]] [[청의선]] 개통과 함께 '''설성서문역'''으로 개업하였다. 본래 [[설성남문역]](現 [[공대역]])이 [[청포선]]의 시점이었으나, 일제 치하에서 청의선 개통과 함께 해당 역이 청포선의 시점으로 조정되었다.
== 역 주변 정보 ==
=== 출구 정보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E4007F; border-collapse: collapse;"
|style="color:000;" colspan="2" class="metroicon" | [[파일:청광1.svg|20px|link=청광 도시철도 1호선]][[파일:청광3.svg|20px|link=청광 도시철도 3호선]] {{색|#var(--)|청광역(역) 출구 정보}}
|-
| style="background: #E4007F; color: #fff; width: 30px;" | 1
| align=left | 기차청광역 방면
|-
| style="background: #E4007F; color: #fff;" | 2
| align=left |
|-
| style="background: #601986; color: #fff;" | 3
| align=left |
|-
| style="background: #601986; color: #fff;" | 4
| align=left | [[동안철도공사]]<br>[[영서문]]
|-
| style="background: #601986; color: #fff;" | 5
| align=left | [[영서문초등학교]]<br>[[영서문]]<br>[[영서문한라아파트]]
|-
| style="background: #E4007F; color: #fff;" | 6
| align=left | [[동안방직]]
|-
| style="background: #E4007F; color: #fff;" | 7
| align=left | [[청대거리]] 동편<br>[[가령예술공원]]
|-
| style="background: #E4007F; color: #fff;" | 8
| align=left | [[내판동]] 방면<br>서문택지지구
|-
| style="background: #E4007F; color: #fff;" | 8A
| align=left | [[내판초등학교]]<br>[[백성미술관]]
|-
| style="background: #E4007F; color: #fff;" | 9
| align=left |
|-
| style="background: #E4007F; color: #fff;" | 10
| align=left |
|}
== 승강장 ==
== 승강장 ==
==== 지상역사 ====
==== 지상역사 ====
415번째 줄: 461번째 줄:
|}
|}


==== [[ 청광 도시철도 1호선]] ====
==== [[청광 도시철도 1호선]] ====




424번째 줄: 470번째 줄:
{{이람선 역 목록}}
{{이람선 역 목록}}
{{청의선 역 목록}}
{{청의선 역 목록}}
{{ 청광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청광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청포선 광역전철의 역 목록}}
{{청포선 광역전철의 역 목록}}
{{프로젝트 청광 휘장}}

2025년 8월 3일 (일) 20:06 기준 최신판

청광역
고속열차 노선 보기
일반열차 노선 보기
통근열차 노선 보기
광역전철 노선 보기
역명 표기
[ 펼치기 · 접기 ]
주소
[ 펼치기 · 접기 ]
관리역 등급 및 소속 영업사업소
[ 펼치기 · 접기 ]
운영 기관
[ 펼치기 · 접기 ]
개업일
[ 펼치기 · 접기 ]
역사 구조
[ 펼치기 · 접기 ]
승강장 구조
[ 펼치기 · 접기 ]
철도거리표
[ 펼치기 · 접기 ]

개요

역명의 유래는 당연하게도 도시 이름이며, 모든 노선의 역이 역동(驛洞)에 소재한다.

역 정보

청포선, 이람선, 청의선의 관리역이자 청광 도시철도 3호선의 기점이며 청광 도시철도 1호선의 중간정차역 기능을 한다. 대한민국에서 서울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이용객을 보유한 역이다.

일치시기

1903년 청의선 개통과 함께 설성서문역으로 개업하였다. 본래 설성남문역(現 공대역)이 청포선의 시점이었으나, 일제 치하에서 청의선 개통과 함께 해당 역이 청포선의 시점으로 조정되었다.

역 주변 정보

출구 정보

청광역(역) 출구 정보
1 기차청광역 방면
2
3
4 동안철도공사
영서문
5 영서문초등학교
영서문
영서문한라아파트
6 동안방직
7 청대거리 동편
가령예술공원
8 내판동 방면
서문택지지구
8A 내판초등학교
백성미술관
9
10

승강장

지상역사

설성조차장
| 12 11 | | 10 9 | | | 8 7 | | 6 5 | | | 4 3 | | | 2 1 |
반동·충동
1 이람선
중앙진·좌헌·이람·화목 방면
2 청포선 경안·학인·오왕·포광 방면
3·4 청포선
청의선

평호선 학인·오왕·항부목·평호읍내 방면
청의선 무궁화호
평호선 학인·오왕·평호읍내·내류 방면
백춘선 경안·학인·오왕·포광 방면
6 청포선 송원·백춘포천·창주 방면
7·8 청포선
평호선

청의선 송원·당천·의완 방면
청의선 무궁화호
평호선 송원·백춘포천·창주 방면
백춘선 송원·백춘포천·세비전 방면
9 청포선 광역전철 판석교·경안·오왕·포광 방면
청포선 동안통근열차
평호선 판석교·경안·오왕·평호읍내 방면
10 이람·청의선 익운·중앙진·이람·화목 방면
이람선 동안통근열차
백춘선
청의선
당역 종착
11 청포선 광역전철 당역 종착
청포선
평호선
동안통근열차
12 이람·청의선 영담·송원·중전자·백춘포천 방면
백춘선 동안통근열차 영담·송원·백춘포천·창주 방면
청의선 영담·송원·당천·의완 방면
이람선 당역 종착

청광 도시철도 1호선

청광 도시철도 3호선

둘러보기

청포선의 역 목록
[ 펼치기 · 접기 ]
이람선의 역 목록
[ 펼치기 · 접기 ]
청의선의 역 목록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청포선 광역전철의 역 목록
[ 펼치기 · 접기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