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분류|청광광역시|서정호}} | |||
{{목차}} | |||
== 개요 == | |||
[[2022년]] [[10월 1일]], [[청광광역시장]] [[서정호]]에 의해 발표된 [[청광광역시]]의 행정구역 개편안이다. 확정되어, {{나무링크|인천광역시의 행정구역 개편|행정구역 개편/수도권/인천광역시/행정체제 개편}}과 함께 2026년부터 시행 예정이다. | |||
== 개편 계획 == | == 개편 계획 == | ||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500px; width: 100%;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25ac80;" |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500px; width: 100%;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25ac80;" | ||
17번째 줄: | 22번째 줄: | ||
| [[영서문]] 이서 | | [[영서문]] 이서 | ||
|- | |- | ||
| [[ | | [[영서문]] 이동 | ||
! rowspan="2" | [[설성구]] | ! rowspan="2" | [[설성구]] | ||
|- | |- | ||
30번째 줄: | 35번째 줄: | ||
|- | |- | ||
| rowspan="2" | '''[[수경구]]''' | | rowspan="2" | '''[[수경구]]''' | ||
| [[ | | [[청광강]] 이북 | ||
|- | |- | ||
| [[ | | [[청광강]] 이남 | ||
! [[수경구]] | ! [[수경구]] | ||
|- | |- | ||
46번째 줄: | 51번째 줄: | ||
| style="background: #25ac80; color: #fff;" | ('''11구''' 1군) | | style="background: #25ac80; color: #fff;" | ('''11구''' 1군) | ||
|} | |} | ||
* [[설성구]]는 지명과 같게 [[설성]] 지역, 즉 도성 내와 그 인접 지역을 관할하게 된다. | |||
* [[서구]]와 [[북구]]는 분구하여 각각 [[낙광]], [[청일]] 생활권과 이어질 수 있도록 [[성서구]]와 [[성동구]]로 계승되고, 남은 지역은 각각 [[달제구]], [[탄벌구]]가 설치된다. | |||
* 60만을 상회하는 인구를 가진 [[동구]]에서 [[청남구]]가 분구된다. | |||
* [[수경구]]의 [[반형|옛 반형면 지역]], 즉 [[청광강]] 이북 지역은 [[탄벌구]]가 관할한다. | |||
== 배경 == | |||
[[동안도 합병]] 초기의 졸속행정으로 인구 비례만 맞게 그어진 경계선이 생활권과 맞지 않고 시가지 단절로 인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서 인구조차도 맞지 않게 되자 20년 후인 [[2002년]] [[산기민]] 전 [[청광광역시장]]이 개편하고자 추진했다가 좌천되었던<ref>[[상진동 참사]]로 인해 사퇴하였기 때문이다. 다음 시장으로 당선된 [[조영]]은 행정구역 개편의 필요성에 공감하기는 했으나 [[산기민]]보다 미온적이었다.</ref> 개편안을 다듬어 발표한 것으로, 당시의 10구 1군으로의 개편안보다 구 하나가 더 늘어난 형태이다. | |||
지금껏 [[청광]]에서 개편이 되기 어려웠던 이유는 애초부터 선이 생활권을 가르도록 그어져버렸다는 점이 있는데, {{나무링크|지방자치제}}의 시행 이래로 이러한 문제 때문에 실제 지명과 위치를 맞추어 새로 조정하는데 합의해야 하는 이해관계자가 많아져 합의를 도출해내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실제로 계획상 요지가 4개 구를 합쳐서 6개 구를 만드는 부분이라, [[설성구|한 지역을 넘겨주고 한 지역을 받아오거나]] 하는 복잡한 개편이 많았다. | |||
{{프로젝트 청광 휘장}} |
2025년 8월 4일 (월) 07:57 기준 최신판
개요
2022년 10월 1일, 청광광역시장 서정호에 의해 발표된 청광광역시의 행정구역 개편안이다. 확정되어, 인천광역시의 행정구역 개편과 함께 2026년부터 시행 예정이다.
개편 계획
기존 | -> | 개편 | |
---|---|---|---|
서구 | 달제, 공항 | -> | 달제구 |
낙광 | 성서구 | ||
설성구 | 영서문 이서 | ||
영서문 이동 | 설성구 | ||
북구 | 원도심권 | ||
청일, 판석교 | 성동구 | ||
탄벌, 답리 | 탄벌구 | ||
수경구 | 청광강 이북 | ||
청광강 이남 | 수경구 | ||
동구 | 의림산 이북 | 동구 | |
의림산 이남 | 청남구 | ||
(8구 1군) | -> | (11구 1군) |
- 설성구는 지명과 같게 설성 지역, 즉 도성 내와 그 인접 지역을 관할하게 된다.
- 서구와 북구는 분구하여 각각 낙광, 청일 생활권과 이어질 수 있도록 성서구와 성동구로 계승되고, 남은 지역은 각각 달제구, 탄벌구가 설치된다.
- 60만을 상회하는 인구를 가진 동구에서 청남구가 분구된다.
- 수경구의 옛 반형면 지역, 즉 청광강 이북 지역은 탄벌구가 관할한다.
배경
동안도 합병 초기의 졸속행정으로 인구 비례만 맞게 그어진 경계선이 생활권과 맞지 않고 시가지 단절로 인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서 인구조차도 맞지 않게 되자 20년 후인 2002년 산기민 전 청광광역시장이 개편하고자 추진했다가 좌천되었던[1] 개편안을 다듬어 발표한 것으로, 당시의 10구 1군으로의 개편안보다 구 하나가 더 늘어난 형태이다.
지금껏 청광에서 개편이 되기 어려웠던 이유는 애초부터 선이 생활권을 가르도록 그어져버렸다는 점이 있는데, 지방자치제의 시행 이래로 이러한 문제 때문에 실제 지명과 위치를 맞추어 새로 조정하는데 합의해야 하는 이해관계자가 많아져 합의를 도출해내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실제로 계획상 요지가 4개 구를 합쳐서 6개 구를 만드는 부분이라, 한 지역을 넘겨주고 한 지역을 받아오거나 하는 복잡한 개편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