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대한민국의 주요 선거}} | {{대한민국의 주요 선거}} | ||
{{분류|전국동시지방선거}} | {{분류|전국동시지방선거}} | ||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500px; width:100%;border: 2px solid |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500px; width:100%;border: 2px solid #e7408e; float: right; text-align: center; margin-left: 1em; box-shadow: 0px 0px 8px 8px rgba(231, 64, 142, .07);" | ||
| colspan="5" style="background: | | colspan="5" style="background: #e7408e; color: #ffffff; text-align: center; height: 43px; padding-top: 6px;" | <big><big>'''대한민국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big></big> | ||
|- | |- | ||
| colspan="5" style="padding: 0;" | [[파일:06지선 청광시장 개표장면.png]] | | colspan="5" style="padding: 0;" | [[파일:06지선 청광시장 개표장면.png]]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 colspan="5" style="padding: 0px;" | <small>개표방송 영상</small> | | colspan="5" style="padding: 0px;" | <small>개표방송 영상</small> | ||
|- | |- | ||
| colspan="5" style="background: | | colspan="5" style="background: #e7408e;" | | ||
|- | |- | ||
| style="width: 25%; text-align: center;" | <small>2002년 6월 13일</small><br>[[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3회 지선]] | | style="width: 25%; text-align: center;" | <small>2002년 6월 13일</small><br>[[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3회 지선]]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style="width: 25%; text-align: center;" | <small>2010년 6월 2일</small><br>[[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5회 지선]] | | style="width: 25%; text-align: center;" | <small>2010년 6월 2일</small><br>[[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5회 지선]] | ||
|- | |- | ||
| colspan="5" style="background: | | colspan="5" style="background: #e7408e;" | | ||
|- | |- | ||
| colspan="5" style="padding: 0px;" | | | colspan="5" style="padding: 0px;"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margin: 0px;" |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margin: 0px;" | ||
! style="color: | ! style="color: {{자동다크글씨|#e7408e}};" | 투표율 | ||
| colspan="3" align=left | 53.48%<small><span style="color: #ff0000;"> ▲ 3.03%p</span></small> | | colspan="3" align=left | 53.48%<small><span style="color: #ff0000;"> ▲ 3.03%p</span></small>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 | ! colspan="4" style="background: #e7408e; color: #ffffff;" |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 ||
|- | |- | ||
| colspan="4" | {{펼접|id=gwangyeok}} | | colspan="4" | {{펼접|id=gwangyeok}} | ||
|- | |- | ||
! style="width: 40%; color: | ! style="width: 40%; color: {{자동다크글씨|#e7408e}};" | 정당 | ||
! colspan="2" style="width: 30%; color: | ! colspan="2" style="width: 30%; color: {{자동다크글씨|#e7408e}};" | 당선인 수 | ||
! style="width: 30%; color: | ! style="width: 30%; color: {{자동다크글씨|#e7408e}};" | 비율 | ||
|- | |- | ||
| <span style="font-size: 1.13em;">{{정당|한나라}}</span> | | <span style="font-size: 1.13em;">{{정당|한나라}}</span> | ||
54번째 줄: | 54번째 줄: | ||
|}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min-width: 260px; margin-right: 1em; border: 2px solid | {| class="wikitable" style="min-width: 260px; margin-right: 1em; border: 2px solid #e7408e; text-align: center;" | ||
| [[파일:06지선 광역장 결과.png|300px]] | | [[파일:06지선 광역장 결과.png|300px]] | ||
|- | |- | ||
70번째 줄: | 70번째 줄: | ||
==== [[청광광역시장]] ==== | ==== [[청광광역시장]] ==== | ||
{{참고|자세한 내용은 [[청광광역시장]] 문서의 [[청광광역시장#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참고|자세한 내용은 [[청광광역시장]] 문서의 [[청광광역시장#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개표|color=#73BF44|link=청광광역시장|name={{크기|17|청광광역시장}}|region=|선거인=2,998,889|투표=1,676,920|무효=13,771|투표율=55.91|{{색|#000|1}}|이장득(利長得)|{{정당|우리}}|251,643|3|0|ffd918|16.34%|2|방수일(方守一)|{{정당|한나라}}|532,235|2|0|0095DA|34.55%|4 | {{개표|color=#73BF44|link=청광광역시장|name={{크기|17|청광광역시장}}|region=|선거인=2,998,889|투표=1,676,920|무효=13,771|투표율=55.91|{{색|#000|1}}|이장득(利長得)|{{정당|우리}}|251,643|3|0|ffd918|16.34%|2|방수일(方守一)|{{정당|한나라}}|532,235|2|0|0095DA|34.55% | ||
[[상진동 참사]]로 인해 [[산기민]]이 사퇴하긴 했지만 {{나무링크|열린우리당}}이 너무나도 약세를 띄는지라 많은 | |4|'''조영(趙永)'''|{{정당|민동련}}|'''600,872'''|1|1|73BF44|'''39.01%'''|5|하성을(荷城乙)|{{정당|민노}}|125,555|4|0|EE7700|8.15%}} | ||
[[상진동 참사]]로 인해 [[산기민]]이 사퇴하긴 했지만 {{나무링크|열린우리당}}이 너무나도 약세를 띄는지라 많은 사람들은 {{나무링크|한나라당}} [[방수일]]이 거뜬히 이길 거라고 예측했다. 그러나 {{나무링크|열린우리당}}에서 탈당한 소장파 동안권 정치인들이 [[동안민주연합]]으로 몰리면서 민심도 그쪽으로 기울기 시작했고 양당에게 신뢰를 잃은 유권자 사이에서 보다 중도적이고 {{나무링크|열린우리당}}과 직접적인 연이 적은 [[조영]]에게 투표하자는 여론이 형성되어 몰표를 받아 '''전국에서 호남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민주당계 정당이 당선'''되는 이변을 일으켰다. 같은 이유인지, 투표율도 본토 평균보다 꽤 높았다. | |||
{{프로젝트 청광 휘장}} | {{프로젝트 청광 휘장}} |
2025년 7월 3일 (목) 01:04 기준 최신판
![]() | ||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개표방송 영상 | ||||||||||||||||
2002년 6월 13일 3회 지선 |
→ | 2006년 5월 31일 4회 지선 |
→ | 2010년 6월 2일 5회 지선 | ||||||||||||
---|---|---|---|---|---|---|---|---|---|---|---|---|---|---|---|---|
|
![]() |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
파일:06지선 기초장 결과.png |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
■ 한나라당 ■ 민주당 ■ 열린우리당 ■ 민주동안연합 ■ 무소속
|
개표 결과
광역자치단체장
청광광역시장
청광광역시장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장득(利長得) | 251,643 | 3위 |
열린우리당 | 16.34% | 낙선 | |
2 | 방수일(方守一) | 532,235 | 2위 |
한나라당 | 34.55% | 낙선 | |
4 | 조영(趙永) | 600,872 | 1위 |
민주동안연합 | 39.01% | 당선 | |
5 | 하성을(荷城乙) | 125,555 | 4위 |
민주노동당 | 8.1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998,889 | 투표율 55.91% |
투표 수 | 1,676,920 | ||
무효표 수 | 13,771 |
상진동 참사로 인해 산기민이 사퇴하긴 했지만 열린우리당이 너무나도 약세를 띄는지라 많은 사람들은 한나라당 방수일이 거뜬히 이길 거라고 예측했다. 그러나 열린우리당에서 탈당한 소장파 동안권 정치인들이 동안민주연합으로 몰리면서 민심도 그쪽으로 기울기 시작했고 양당에게 신뢰를 잃은 유권자 사이에서 보다 중도적이고 열린우리당과 직접적인 연이 적은 조영에게 투표하자는 여론이 형성되어 몰표를 받아 전국에서 호남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민주당계 정당이 당선되는 이변을 일으켰다. 같은 이유인지, 투표율도 본토 평균보다 꽤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