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 | ||||||||||||||||
개표방송 영상 | ||||||||||||||||
2002년 6월 13일 3회 지선 |
→ | 2006년 5월 31일 4회 지선 |
→ | 2010년 6월 2일 5회 지선 | ||||||||||||
---|---|---|---|---|---|---|---|---|---|---|---|---|---|---|---|---|
|
![]() |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
파일:06지선 기초장 결과.png |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
■ 한나라당 ■ 민주당 ■ 열린우리당 ■ 민주동안연합 ■ 무소속
|
개표 결과
광역자치단체장
청광광역시장
청광광역시장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장득(利長得) | 251,643 | 3위 |
열린우리당 | 16.34% | 낙선 | |
2 | 방수일(方守一) | 532,235 | 2위 |
한나라당 | 34.55% | 낙선 | |
4 | 조영(趙永) | 600,872 | 1위 |
민주동안연합 | 39.01% | 당선 | |
5 | 하성을(荷城乙) | 125,555 | 4위 |
민주노동당 | 8.1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998,889 | 투표율 55.91% |
투표 수 | 1,676,920 | ||
무효표 수 | 13,771 |
상진동 참사로 인해 산기민이 사퇴하긴 했지만 열린우리당이 너무나도 약세를 띄는지라 많은 사람들은 한나라당 방수일이 거뜬히 이길 거라고 예측했다. 그러나 열린우리당에서 탈당한 소장파 동안권 정치인들이 동안민주연합으로 몰리면서 민심도 그쪽으로 기울기 시작했고 양당에게 신뢰를 잃은 유권자 사이에서 보다 중도적이고 열린우리당과 직접적인 연이 적은 조영에게 투표하자는 여론이 형성되어 몰표를 받아 전국에서 호남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민주당계 정당이 당선되는 이변을 일으켰다. 같은 이유인지, 투표율도 본토 평균보다 꽤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