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 목록 (맑은 빛으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 '''간{{연회색|리}}'''(間{{연회색|里}})
* '''간{{연회색|리}}'''(間{{연회색|里}})
=== [[동안남도]] ===
=== [[동안남도]] ===
==== [[초구시]] ====
===== [[흥교읍]] =====
* '''흥교{{연회색|읍}}'''(興橋{{연회색|邑}}): 고사리밭이라는 뜻의 '옷기밧'의 일본식 음차 おき+ばし.
==== [[포광시]] ====
==== [[포광시]] ====
===== [[가만읍]] =====
===== [[가만읍]] =====
43번째 줄: 46번째 줄:
* '''낭포{{연회색|리}}'''(浪布{{연회색|里}}): '겻베'를 한 글자씩 나누어 훈차한 것.
* '''낭포{{연회색|리}}'''(浪布{{연회색|里}}): '겻베'를 한 글자씩 나누어 훈차한 것.
* '''울소{{연회색|리}}'''(蔚昭{{연회색|里}}): 설성경 시대 행정구역 울소사에서 유래.
* '''울소{{연회색|리}}'''(蔚昭{{연회색|里}}): 설성경 시대 행정구역 울소사에서 유래.
* '''월미{{연회색|리}}'''(月米{{연회색|里}}): '겻베'의 일본식 음차 げつ+ベイ
* '''월미{{연회색|리}}'''(月米{{연회색|里}}): '겻베'의 일본식 음차 げつ+ベイ.

2025년 8월 2일 (토) 18:32 판

개요

시·군·구·읍·면 단위까지 문단을 구분하고 틀에 변천사를 적으며, 동의 경우는 시나 구 바로 아래에 적습니다. 동·리 단위와 기타 지명은 목록(*)으로 표시하고 뒤에 간결히 유래를 적습니다. 유래가 미상으로 설정된 경우 적지 않습니다.

Project 晴光

청광광역시

창선군

수성면
  • 정태(亭泰)
  • (高)
  • (間)

동안남도

초구시

흥교읍
  • 흥교(興橋): 고사리밭이라는 뜻의 '옷기밧'의 일본식 음차 おき+ばし.

포광시

가만읍
제진국 평호·백춘경 설성경 일치시기 대한민국
굽디
可曲
가만
可彎
가만
可彎
가만
可彎
가만
可彎
가만
可彎
미상
訥昭
울휘
蔚煇
울소
蔚昭
  • 가만(可彎): '굽디'의 앞을 음차, 뒤를 훈차한 것.
  • 낭포(浪布): '겻베'를 한 글자씩 나누어 훈차한 것.
  • 울소(蔚昭): 설성경 시대 행정구역 울소사에서 유래.
  • 월미(月米): '겻베'의 일본식 음차 げつ+ベ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