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분류|도움말}} | |||
{{공용 문서}}{{도움말}}{{목차}}<br> | |||
{{목차}} | {{목차}} | ||
== 들어가기 앞서 == | == 들어가기 앞서 == | ||
137번째 줄: | 139번째 줄: | ||
세로쓰기를 이용하면 우종서로 쓸 수 있습니다. 세로쓰기 안에서 개행하면 당연하게도 왼쪽으로 줄바꿈됩니다. | 세로쓰기를 이용하면 우종서로 쓸 수 있습니다. 세로쓰기 안에서 개행하면 당연하게도 왼쪽으로 줄바꿈됩니다. | ||
눈치가 빠르다면 | 눈치가 빠르다면 글자에 대한 서식이 영어 소문자로 열고 <code>.</code>로 닫는 것임을 알 수 있을 텐데, 세로쓰기 구간 안에서 <code>n28.</code>과 같이 <code>n</code>을 이용한 서식을 추가하면 영어나 숫자가 회전되는 대신 한 글자 자리에 뭉개집니다. | ||
=== 합성 기호 추가하기 === | === 합성 기호 추가하기 === | ||
183번째 줄: | 185번째 줄: | ||
작성한 제목은 표 왼쪽에 나옵니다. 위키에는 왼쪽 페이지 오른쪽 페이지 구분이 없으므로... | 작성한 제목은 표 왼쪽에 나옵니다. 위키에는 왼쪽 페이지 오른쪽 페이지 구분이 없으므로... | ||
기본적으로 굵게 처리가 되어서 나옵니다만, 구간 표시처럼 볼드를 하지 않을 부분은 <code>u(A > B).</code>처럼 <code>u</code>로 서식하고, 상행 표지는 <code>n상행.</code><sub>のぼり의 n</sub>, 하행 표지는 <code>k하행.</code><sub>くだり의 k</sub>로 그릴 수 있습니다. | 기본적으로 굵게 처리가 되어서 나옵니다만, 구간 표시처럼 볼드를 하지 않을 부분은 <code>u(A > B).</code>처럼 <code>u</code>로 서식하고, 상행 표지는 <code>n상행.</code><sub>のぼり의 n</sub>, 하행 표지는 <code>k하행.</code><sub>くだり의 k</sub>로 그릴 수 있습니다. 타 언어 이용 시에는 상행과 하행 자리에 글자만 바꿔주면 됩니다. 단, 2글자로 구성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
<code>|</code>는 MediaWiki의 표에서 칸 구분과 충돌하므로 그 대신 원래 속이 빈 화살표로 쓰이는 <code>></code>가 이곳에서는 긴 세로줄로 바뀝니다. | <code>|</code>는 MediaWiki의 표에서 칸 구분과 충돌하므로 그 대신 원래 속이 빈 화살표로 쓰이는 <code>></code>가 이곳에서는 긴 세로줄로 바뀝니다. |
2025년 8월 12일 (화) 23:19 기준 최신판
공용 문서 | ||||
---|---|---|---|---|
연도(20세기 · 21세기) · 날짜 · 동음이의 · 실용 · 도움말 · 규정 · 양식 |
도움말 | ||||
---|---|---|---|---|
[ 펼치기 · 접기 ]
|
들어가기 앞서
공식 편집기를 이용하시면 편집하기 매우 편리합니다. 해당 도움말 또한 편집기를 이용한다는 가정 하에 작성되었습니다.
참고사항을 읽고 편집기를 사용하시면 사용하는 데 큰 불편함이 없으므로 먼저 간단히 훑어본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기본 기능 익히기
시작하기
아무 행동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편집기에는 아무 표도 표시되지 않습니다. 물론 이 상태에서 앞 행 추가와 앞 열 추가를 눌러 빈 표로 시작할 수도 있지만, 예시를 편집하기 쉽게 제작해두었으니 예시를 불러온 후 그것을 바탕으로 편집함을 추천드립니다.
아직은 시각표를 제작하기보다는 직관적인 기능을 익히는 과정이므로 예시를 불러와 연습해보세요.
시각 입력하기
각 칸을 더블클릭PC하거나 길게 누르면모바일 내용을 편집할 수 있는 칸이 나옵니다. 각 칸에 해당하는 3~4자리의 시각을 입력하면 됩니다.
기호 입력하기
기본적으로 시각표에서 많이 사용하는 4개의 기호들(⇂, ⋯, ‖, 〃)은 편집기에서 버튼을 눌러 바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나머지 기호들은 아래 기호 목록을 참고하거나, 편집기 참고사항에 딸린 표를 참고하여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아이콘 | 설명 | 입력 |
---|---|---|
자주 사용하는 기호 | ||
⇂ | 통과 | v
|
‖ | 타 선로 경유 | i
|
⋯ | 시각 없음 | x
|
〃 | 노노지텐 | q
|
— | 종착 | -
|
⇨ | 흰 화살표 | >
|
➡ | 검은 화살표 | >>
|
일반 기호 | ||
. | 소수점 | ..
|
‥ | 시각 없음 代 | w
|
= | 종착 代 | --
|
╌ | 구분선 | DIV
|
전각 공백 | SPA
| |
특수 기호 | ||
🍀 | 그린샤 지정석 | GRR
|
☘ | 그린샤 자유석 | GRN
|
☘ | 침대특급 | LSL
|
🍀 | 침대급행 | XSL
|
L | L특급 | LEX
|
괄호 | ||
( | 소괄호 | PAO·PAC
|
〔 | 열차명 | TNO·TNC
|
【 | 운휴일 | SUO·SUC
|
아이콘 | 설명 | 입력 |
---|---|---|
합성 기호 | ||
𝑰 | 열차·역 번호 | N{_}
|
① | 원 | C{_}
|
🄰 | 사각형 | S{_}
|
❶ | 검은 원 | BC{_}
|
🅰 | 검은 사각형 | BS{_}
|
화살표 | ||
⬎ | 우하 | TRD
|
⬏ | 우상 | TRU
|
⬐ | 좌하 | TLD
|
⬑ | 좌상 | TLU
|
↲ | 하좌 | TDL
|
↳ | 하우 | TDR
|
↰ | 상좌 | TUL
|
↱ | 상우 | TUR
|
메모 | ||
┏ | 좌하 | MLD
|
┓ | 우하 | MRD
|
┗ | 좌상 | MLU
|
┛ | 우상 | MRU
|
문자 | ||
發 | 필 발 | DEP
|
着 | 붙을 착 | ARR
|
글씨 입력하기
숫자뿐만 아니라 글자도 쉽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단지 라틴 문자, 특히 소문자를 이용할 때만 조심하면 됩니다. 서식 문법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충돌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대문자를 사용하거나 불가피한 경우 전각 문자를 사용하십시오.
줄바꿈은 /
로 입력할 수 있고, PC에서는 엔터키를 누르면 자동으로 /
가 입력됩니다.
글자 꾸미기
시각표를 재현할 때 서식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편집 창을 띄운 후 그곳에서 서식을 적용할 부분을 선택하고 버튼으로 서식을 선택하면 그 서식이 적용됩니다.
이때 '강조'란, '굵게'와 '크게'를 모두 적용한 것과 같으며, 표 상단 제목이나 착·발 시각이 모두 적힌 역의 역명을 적을 때 주로 씁니다.
이외에 특급열차의 시각이 굵게 처리된 경우 등 여러 곳에 사용합니다.
세로쓰기
세로쓰기를 이용하면 우종서로 쓸 수 있습니다. 세로쓰기 안에서 개행하면 당연하게도 왼쪽으로 줄바꿈됩니다.
눈치가 빠르다면 글자에 대한 서식이 영어 소문자로 열고 .
로 닫는 것임을 알 수 있을 텐데, 세로쓰기 구간 안에서 n28.
과 같이 n
을 이용한 서식을 추가하면 영어나 숫자가 회전되는 대신 한 글자 자리에 뭉개집니다.
합성 기호 추가하기
위에 기호 목록을 열어보면 주황색으로 강조된 합성 기호가 있습니다. 이들은 편집 창을 열면 오른쪽 아래에 위치하여 편집기에서 바로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열차 번호나 역 번호 등의 이탤릭체, 원이나 사각형 안에 글씨가 들어 있는 형태의 기호, 예컨데 열차 등급 기호라거나 하는 것들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것
마침표가 서식의 종료를 의미하므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마침표를 두 번 연속 입력하면 한 개로 바뀌도록 설정했습니다. 13.2
를 입력하려면 13..2
를 입력하면 됩니다.
심화 기능 익히기
칸별 서식 사용하기
칸을 선택하면 나타나는 서식 추가 버튼을 누르면 칸별로 적용되는 서식들이 나타납니다. 한 번 추가한 서식을 없애려면 칸에 생긴 알약 모양을 누르면 없어집니다. 일부 모바일 환경에서는 두 번 연타하면 사라지기도 합니다.
칸 병합하기
칸을 병합하는 것은 조금 어렵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서식 추가 창에서 행과 열을 병합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칸을 병합한 후 병합되어 사라지는 칸들에 수동으로 '병합됨' 서식을 추가해 병합되었음을 표시해야 합니다. 또한 병합된 칸 사이에 새 행이나 열을 추가하는 경우, 병합된 행·열 수를 수동으로 늘려야 합니다.
머리말 칸
머리말 칸 서식은 특별합니다. 자동으로 오른쪽으로 3칸을 병합하도록 되어 있는데, 그래서 편집기에서 머리말 칸 오른쪽 2칸은 항상 병합됨으로 지정되어야 합니다.
이는 역 목록이 3개 열로 이루어지기에 역 목록에 맞추도록 되어 있는 것입니다. 물론 역 목록보다 길거나 짧아야 한다면 수동으로 지정하면 그 숫자가 우선됩니다.
사실 3개 칸을 직접 병합하는 것과 큰 차이는 없지만, 직접 병합하면 양끝으로 정렬되는 데 반해 머리말 칸을 사용하면 왼쪽과 오른쪽에 약간의 여백이 생깁니다.
경계 추가·제거하기
행 경계를 추가하면 칸 위쪽에 청록색으로 표시됩니다. 한 칸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 행에 적용되므로 행에서 한 칸에만 하면 됩니다. 다만, 병합된 칸에 적용된 서식은 무효화되므로 병합되지 않은 칸에 적용하세요.
제거하는 것도 같습니다. 원래 행 위에 경계가 있을 곳에 경계를 제거하면 경계 없이 이어집니다.
출력하기
이제 CSV를 이용해 출력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다음과 같이 문서에 붙여넣기만 하면 됩니다.
{{#invoke:Timetable|csv |header=머리말 행 수 |left=머리말 열 수 |footer=꼬리말 행 수 |title=제목| 여기에 데이터 붙여넣기 }}
표외 제목 작성하기
작성한 제목은 표 왼쪽에 나옵니다. 위키에는 왼쪽 페이지 오른쪽 페이지 구분이 없으므로...
기본적으로 굵게 처리가 되어서 나옵니다만, 구간 표시처럼 볼드를 하지 않을 부분은 u(A > B).
처럼 u
로 서식하고, 상행 표지는 n상행.
のぼり의 n, 하행 표지는 k하행.
くだり의 k로 그릴 수 있습니다. 타 언어 이용 시에는 상행과 하행 자리에 글자만 바꿔주면 됩니다. 단, 2글자로 구성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는 MediaWiki의 표에서 칸 구분과 충돌하므로 그 대신 원래 속이 빈 화살표로 쓰이는 >
가 이곳에서는 긴 세로줄로 바뀝니다.
예시
메모 사용하기
행복 ⇨ 말랑 ⇨ 폭신 | |||||||||||||||||||||||||||||||||||||||||||||||||||||||||||||||||||||||||||||||||||||||||||||||||||
거리 | 열차번호 | 123D | 1 | ||||||||||||||||||||||||||||||||||||||||||||||||||||||||||||||||||||||||||||||||||||||||||||||||
열차명 | 急行 말랑말랑 3호 |
┓ { 매월 32일 운휴 } |
|||||||||||||||||||||||||||||||||||||||||||||||||||||||||||||||||||||||||||||||||||||||||||||||||
0.0 | 행복 | 發 | 400 | 520 | |||||||||||||||||||||||||||||||||||||||||||||||||||||||||||||||||||||||||||||||||||||||||||||||
25.0 | 弁 | 말랑 | 着 | 420 | 540 | ||||||||||||||||||||||||||||||||||||||||||||||||||||||||||||||||||||||||||||||||||||||||||||||
發 | = | 545 | |||||||||||||||||||||||||||||||||||||||||||||||||||||||||||||||||||||||||||||||||||||||||||||||||
40.0 | 쫀득 | 着 | ⋯ | 600 | |||||||||||||||||||||||||||||||||||||||||||||||||||||||||||||||||||||||||||||||||||||||||||||||
50.0 | 귀염 | 〃 | ⋯ | 612 | |||||||||||||||||||||||||||||||||||||||||||||||||||||||||||||||||||||||||||||||||||||||||||||||
60.0 | 폭신 | 〃 | ⋯ | 625 | |||||||||||||||||||||||||||||||||||||||||||||||||||||||||||||||||||||||||||||||||||||||||||||||
비고 | ➡ | ||||||||||||||||||||||||||||||||||||||||||||||||||||||||||||||||||||||||||||||||||||||||||||||||||
사랑 815 |
{{#invoke:Timetable|csv |header=3 |left=4 |footer=2 |title=n상행. 말랑선 u(행복 > 폭신).| h<100~50; bSPA행복 > 말랑 > 폭신SPA., !!;, !!;, !!;, !!;, !!;, !!; ^2; r거리., h; '열차번호', !!;, !!;, N{123D}, , N{1} !!;, h; '열차명', !!;, !!;, XSL/S{k急行.}/r말랑말랑/SPA3호., ^5; /////MRD/SUO/r매월 rr32.일/ 운휴./SUC, 0..0, SPA, '행복', DEP, 400, !!;, 520 ^2; 25..0, ^2; 弁, ^2; b'말랑'., ARR, 420, !!;, 540 !!;, !!;, !!;, &; DEP, --, !!;, 545 40..0, SPA, '쫀득', ARR, x, !!;, 600 50..0, SPA, '귀염', q, x, , 612 60..0, SPA, '폭신', q, x, , 625 h^2<4; '비고', !!;, !!;, !!;, , , r>>. !!;, !!;, !!;, !!;, #;, , 사랑/815 }}